권설 설측 접근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설 설측 접근음은 혀끝을 치경 후부에 대고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내는 자음으로, 유성음이며 접근음에 해당한다. 주로 인도 아대륙의 언어에서 음소로 사용되며, 드라비다어족, 인도유럽어족 인도아리아어파, 한티어 등에서 나타난다.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한국어 등에서는 다른 음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권설 설측 접근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음소적 지위를 갖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2. 특징
2. 1. 조음 방법
2. 2. 조음 위치
조음 위치는 들린 혀끝과 치경 후부로 인한 권설음이다.
3. 언어별 예시
한국어에서는 음절 끝소리 'ㄹ'에서 이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으며, 치경 설측 접근음으로도 발음된다.[1] 스웨덴어에서는 'rl'에서, 타밀어, 텔루구어, 오리야어에서는 각각 'ள்', 'ళ', 'ଳ'에서 이 소리가 난다.
인도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언어에서 발견된다.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아리아어파에 속하는 마라티어, 구자라트어 등과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타밀어, 말라얄람어 등에서 음소로 사용된다. 우랄어족의 한티어에서도 ӆ 문자가 이 소리를 나타낸다.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한국어 등에서는 동화에 의해 이 소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3. 1. 음소인 경우
언어 | 표기 | 발음 | 의미 | 비고 |
---|---|---|---|---|
구자라트어 | નળ|나을gu | '수도꼭지' | ળgu로 표기. 로 발음.[1] | |
칸나다어 | ಎಳ್ಳು|엘루kn | '참깨' | ಳkn로 표기. | |
말라얄람어 | മലയാളം|말라얄람ml | '말라얄람어' | ളml 문자로 표시. 설단 후두 후치. 장단 형태는 단어 중간에서 대조적.[1] | |
마라티어 | बाळ|바알mr | '아기/아이' | ळmr로 표기. 로 발음. | |
오디아어 | ଫଳ|포올로or | '과일' | ଳor로 표기. 로 발음.[1] | |
펀자브어 | ਤ੍ਰੇਲ਼|트렐pa | '이슬' | ਲ਼pa 및 로 표기. | |
타밀어 | ஆள்|아알ta | '사람' | ள்ta로 표기.[1] | |
텔루구어 | నీళ్ళు|니일루te | '물' | ళte로 표기. |
주로 인도 아대륙의 언어에서 음소로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타밀어(ள|라ta), 말라얄람어(ള|라ml), 텔루구어(ళ|라te), 칸나다어(ಳ|라kn)
- 인도유럽어족 인도아리아어파: 마라티어(ळ|라mr), 구자라트어(ળ|라gu), 싱할라어(ළ|라si), 펀자브어(ਲ਼|라pa) (구르무키 문자 표기), 오리야어(ଳ|라or), 팔리어 - ḷ(라틴 문자 표기)
- 기타: 한티어 - ӆ
3. 2. 음소가 아닌 경우
다음은 다른 음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한국어: 음절 끝의 'ㄹ'에서 이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예: 솔|sol한국어 [soɭ] (소나무)).[1]
- 스웨덴어: 'rl'의 조합에서 나타난다. (예: sorl [soːɭ] (웅성거림))
- 노르웨이어: 'rl'의 조합에서 나타난다. (예: farlig [ˈfɑːɭi] (위험한))
- 표준 프랑스어: 일부 화자에게 /f/와 /ʒ/ 앞의 /l/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예: belle jambe [bɛɭ ʒɑ̃b] (아름다운 다리))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페로어 | árlafo | [ɔɻɭa] | '초기' | /ɹ/ 뒤의 /l/의 이음이다. | |
한국어 | 솔한국어 / {{lang|ko-Latn|sol]] | [soɭ] | '소나무' | ㄹ한국어로 표기. /l/로도 발음될 수 있다. | |
노르웨이어 | 동부 및 중부 방언 | farligno | [ˈfɑːɭi] | '위험한' |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
미야코어 | 이라부 방언 | 昼間 ピィルマmvi | [pɭːma] | '낮' | 음절 처음에 사용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ɾ/의 이음. |
표준 프랑스어 | belle jambe프랑스어 | [bɛɭ ʒɑ̃b] | '아름다운 다리' | 일부 화자에게 /f/와 /ʒ/ 앞의 /l/의 이음. 프랑스어 음운론 참조 | |
스웨덴어 | {{lang|sv|sorl]] | [soːɭ] | 웅성거림(명사) |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참조
[1]
웹사이트
Malayalam: a Grammatical Sketch and a Text
http://www.owlnet.ri[...]
2023-12-10
[2]
웹사이트
ladjap
https://e-dictionary[...]
Indigenous Languages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2022-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